온열질환, 탈수, 급성 장염이 많은 8월 여름철이면 1년 중 응급실 방문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분당제생병원 응급의료센터가 2014년부터 2023년까지 최근 10년간 국립중앙의료원 응급의료현황 통계를 통해 환자 수를 월별로 확인한 결과다.

분석 결과 8월이 498만1807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으로 9월이 493만5435명, 5월이 490만9706명 순으로 많았다.
분당제생병원 응급의료센터 김영식 소장은 “실제 여름철에 응급의료센터로 이송되는 환자수가 많다. 특히, 8월과 9월에 최고치를 기록하는데, 이는 높은 기온과 연관이 있다. 기온이 30도가 넘는 무더운 날에는 온열 질환과 열사병, 급성 장염, 탈수 등 환자가 증가하고 방학 및 휴가철로 가족단위의 이동으로 교통사고, 골절 등 외상성 사고도 많다”고 말했다.

강수량과 같은 날씨 요인과 기온은 질환 발생에 많은 영향을 준다. 기온이 높은 여름철에는 사람들의 활동성이 증가함에 따라 발생하는 사고나 질병으로 인해 환자가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여름철에는 폭염으로 인한 온열 질환 발생률이 높은데, 일사병와 열사병이 진행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김영식 소장은 “온열 질환은 뜨거운 환경에 장시간 노출될 때 발생하는 급성질환으로 대표적으로 일사병과 열사병이 있는데 일사병은 고온 환경에서 충분한 수분 보충이 안될 때 발생하고, 땀을 많이 흘리고. 두통, 어지러움, 구토, 실신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열사병은 체온 조절 중추가 기능을 상실할 만큼 고온에 노출되어 40도 이상의 고열과 의식변화, 땀이 멈춤, 발작. 환각, 혼수상태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열사병의 경우 중추신경계 이상과 다발성 장기 손상 및 사망 위험에 있을 수 있으므로 즉시 체온을 낮추는 조치를 하고 119에 신고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온열 질환 예방을 위해서는 충분한 수분 섭취, 낮시간대 야외작업·운동 기피, 그늘을 이용해 열 흡수를 줄이는 것이 도움이 된다. 또 갈증이 나지 않아도 규칙적으로 물을 자주 마셔야 하고 이온 음료를 통해 전해질을 보충하는 것이 중요하다. 헐렁하고 밝은 색의 가벼운 옷을 입고, 외출 시 모자를 착용하할 필요가 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