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언석 “정치 보복 없었다” 맞서
李 추도사서 “인동초의 길 갈 것”
‘화해와 통합의 정치인’ 김대중 전 대통령(DJ) 서거 16주기를 맞은 18일 여야 수장이 국립현충원에 모였지만, 냉랭한 언사를 주고받으며 까마득한 협치 국면을 드러냈다.

이날 오전 국립서울현충원 현충관에서 열린 DJ 서거 16주기 추도식에는 우원식 국회의장과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김병기 원내대표, 국민의힘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 등 여야 대표를 비롯해 김원기·임채정·문희상·정세균 전 국회의장과 김부겸 전 국무총리 등 정치 원로들이 대거 참석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강훈식 비서실장이 대독한 추도사를 통해 “김대중 대통령의 삶은 혹독한 시련 속에 피어난 인동초(忍冬草)이자 대한민국의 과거와 오늘, 미래를 지켜낸 한 그루 거목(巨木)이었다”고 회상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 “김대중이 먼저 걸었던 길이 대한민국이 나아갈 미래”라면서 “대통령께서 앞장서 열어주신 그 길 따라서, 멈추지 않고 직진하겠다”고 추모했다.
‘국민이 주인인 나라’, ‘화해·협력·평화’ 등 DJ 정신을 기리는 추도사가 이어지는 가운데, 양당 대표들은 추도식 맨 앞줄에 나란히 앉았지만 대화 한 마디, 악수 한 번 나누지 않았다. 앞서 “내란 세력과 악수도 하지 않겠다”고 단언한 정 대표는 오른편에 앉은 강 실장과 담소를 나누면서도 왼편에 앉은 송 비대위원장과는 아는 체하지 않았고, “저도 사람과 악수한다”고 받아쳤던 송 비대위원장도 굳은 표정으로 정면만 주시했다.
추도사에서도 신경전이 이어졌다. 정 대표는 추도사에서 “김대중이라는 거인은 민주주의와 인권, 한반도 평화를 위해 평생 헌신한 지도자였다”며 “민주주의는 시민들의 뜨거운 마음으로 빚어져 상처를 입을지언정 결코 무너지지 않는다. 그 회복력의 무성한 뿌리를 더듬다 보면 저는 결국 당신께 가닿는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 “국민주권주의는 정치적 수사가 아니다”라며 “오늘 당신이었다면 진정한 용서는 ‘완전한 내란세력 척결’과 같은 말이라고 말하셨을 것이라 확신한다”고 날을 세웠다.
송 비대위원장은 정 대표의 강경 대야 노선을 겨냥하듯 ‘통합’을 내세웠다. 그는 추도사에서 “김대중 대통령은 화합과 통합의 정치, 그리고 국민과 국익을 위한 헌신의 정치를 해오셨다”며 “김 전 대통령이 후보 시절에 했던 정치보복은 없다는 약속을 대통령 재임 중에도 지키셨다”고 했다.
송 비대위원장은 이어 “집권 여당이 야당을 대화의 상대방으로 인정하지 않고 말살해야 할 대상으로 규정하고 있는 작금의 현실 앞에서 김 전 대통령의 포용과 관용의 정치가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고 강조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