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질적 계획은 세워지지 않아…북미 공식적 소통 없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1월 아시아 순방을 계기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회동을 비공식적으로 타진하고 있다고 CNN이 1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CNN은 복수의 트럼프 행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이 다음 달 아시아 방문 시 김 위원장과의 회담 개최 방안을 내부적으로 논의했다”고 전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과 김 국무위원장과의 회담이 구체적인 준비 단계로 진입한 것은 아니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보도에 따르면 복수의 소식통은 “행정부가 북미 정상 간 회동 가능성을 검토했지만 실제 개최를 위한 실질적 계획은 세워지지 않았다”며 “워싱턴과 평양 간에도 트럼프 1기 당시처럼 공식적인 소통이 전혀 없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올해 초 김 위원장 측에 서한 전달을 시도했으나 북한의 답변을 받지 못한 것으로도 알려졌다.
시점 또한 ‘다음 달’로 특정한 점으로 볼 때,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 회동 추진 가능성은 낮다. 대통령실은 트럼프 대통령의 APEC 계기 방한 일정과 관련해 “(10월)29일에 도착해 30일까지 (머무를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다만 CNN은 “2019년 판문점에서 열린 북·미 정상회담도 트럼프 대통령이 트위터에 초청 글을 올린 지 48시간 만에 전격적으로 이루어졌다”며 “이는 상황이 얼마나 빨리 변할 수 있는지 보여주는 사례”라고 언급하며 회동 가능성을 열어뒀다.
아울러 이재명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을 초청하며 “김 국무위원장을 만날 절호의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제안했고, 트럼프 대통령이 이에 “살펴보겠다”고 답한 점을 들어 회동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기는 어렵다는 점도 거론했다.

한편 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아시아 순방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회담 주선에 더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폭스 비즈니스 인터뷰에서 “시 주석을 2주 안에 만날 것”이라고 밝히며 미중 정상회담이 임박했음을 시사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