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5년 4월 30일 남베트남(월남) 수도 사이공이 북베트남(월맹) 군대에 점령당했다. 이로써 월남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통일 베트남은 공산주의 국가로 거듭났다. 베트남의 공산화는 즉각 주변 동남아 국가들에도 영향을 끼쳤다.
캄보디아의 경우 베트남보다 앞선 1975년 4월 17일에 이미 공산주의 세력(일명 ‘크메르루즈’)이 프놈펜에 입성하며 전국을 장악했다. 같은 해 12월 2일에는 라오스에서 왕정이 폐지되고 공산 정권이 들어섰다. 미국 등 자유주의 진영 시민들은 ‘한 나라가 공산화하면 이웃 나라들도 차례로 몽땅 공산 국가가 되고 만다’는 이른바 도미노 이론이 현실로 입증됐다는 공포감에 사로잡혀 벌벌 떨었다.
월남 패망은 한국 박정희정부에겐 쓰라린 시련이었다. 비록 종전 당시에는 한국군이 베트남에서 철수하고 없었지만, 월남 파병(1964∼1973)의 기억과 상흔은 뚜렷이 남아 있었기 때문이다. 10년 가까운 기간 동안 연인원 약 30만명이 “남베트남의 자유를 지키겠다”며 한국을 떠나 열대 정글에서 싸웠다.
그중 5000명 넘는 장병은 하나뿐인 목숨을 잃었다. 박정희정부는 이들의 희생은 결코 헛된 것이 아니었다는 점을 국민에게 납득시켜야만 했다. 또 무너지는 도미노처럼 전 세계로 뻗어 나가는 공산주의의 위세로부터 반드시 나라를 지켜야만 했다.
그래서 만든 것이 바로 ‘내 마을과 내 직장은 내가 지킨다’라는 구호를 앞세운 민방위대였다. 1975년 6월 27일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한 ‘민방위의 날 훈련’ 실시 등을 핵심으로 삼은 민방위기본법안이 처음 선보였다. 이는 1개월가량 국회도, 언론도 모르는 채로 밀실에서 몰래 진행한 작업의 결과였다. 그 실무 책임자인 정종택 당시 내무부(현 행정안전부) 기획관리실장은 ‘1급 비밀’로 분류된 법안 관련 서류를 챙겨 윗선에 보고한 뒤 다시 수정하는 과정에서 철통같은 보안을 지켰다.
야당인 신민당이 이를 알면 “국민 부담이 늘어나 기본권을 침해할 수 있다”며 반대할 가능성이 크다는 이유 때문이었다. 그래서 정 실장은 ‘요즘 왜 그리 바쁘냐’는 친한 기자들의 물음에 “예산 관계 작업을 하는 중”이란 거짓말로 둘러대야 했다. 훗날 그는 “본격적인 법안 작성에 돌입한 뒤로는 보름 동안 잠 한숨 제대로 못 잤다”고 고충을 털어놨다.
민방위대 창설에 공을 세운 덕분인지 정 실장은 이후 관운(官運)이 활짝 피었다. 관선 충북지사, 노동청장(현 고용노동부 장관), 농수산부(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등을 거쳤다. 여당인 민정당 공천을 받아 고향인 충북 청주 지역구에서 11∼13대 국회의원을 지내며 정계에도 발자취를 남겼다. 민정당이 중심이 된 3당 합당으로 탄생한 김영삼(YS)정부 시절 1년간 환경부 장관(1995∼1996)을 맡은 것이 마지막 공직이었다.
YS는 물론 김대중(DJ) 대통령과도 인연이 있어 2000년 DJ 총재 휘하의 새천년민주당 공천으로 16대 국회의원에 도전했으나 낙선의 고배를 마셨다. 그가 무슨 벼슬을 맡든 신문사 프로필에서 ‘민방위의 산파역’이란 소개가 빠지지 않았다. 지난 5일 90세를 일기로 별세했을 때 부고(訃告) 기사조차 그랬으니 민방위 제도가 남아 있는 한 고인의 이름도 영원히 기억될 것 같다. 민방위대 창설 50주년에 세상을 떠난 고인의 명복을 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다카이치 日총리의 급여 반납](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6/128/20251106518657.jpg
)
![[삶과문화] 지금 집이 없는 사람](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6/128/20251106518472.jpg
)
![RM이 말한 ‘K컬처의 힘’ : 다양성의 언어 [이지영의K컬처여행]](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3/128/20251023514662.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