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3월 철강 대미 수출 15.7% 감소… “관세도 일부 영향”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5-04-18 14:14:58 수정 : 2025-04-18 14:39:58

인쇄 메일 url 공유 -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 후 가장 빨리 품목관세를 부과한 분야 중 하나는 철강이다. 미국은 지난달 12일부터 철강 및 파생 제품에 관세 25%를 부과했는데 지난달 우리나라가 미국에 수출한 철강 수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15% 이상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 수출 야적장에 철강 제품이 쌓여 있는 모습. 뉴스1

18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달 대미 철강 수출액은 10억400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5.7% 감소했다. 지난달 수출 중량도 71만t으로 15.5% 줄었다. 미국은 기존에 우리나라 철강에 관세를 면제해주고 연간 263만t 규모 쿼터를 2018년부터 적용해왔으나 지난달부터 이를 없애고 주요 수입국에 일괄 관세를 부과하기로 정책을 바꿨다.

 

업계에서는 지난달 우리나라의 대미 철강 수출 감소 원인 중 하나로 미국의 철강 관세조치 영향도 있다고 분석한다. 철강 관세조치로 미국 시장에서 약 4분의 3을 차지하던 미국 철강 기업의 시장 점유율이 더 높아진 상태로 새 균형점을 찾아갈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다.

 

다만 지난달 수출 감소가 관세 영향만이라고 보기 어렵다는 지적도 있다. 철강 거래는 통상 수개월 전에 미리 이뤄지고, 현지 경기 동향에 따른 수요 변화 등 다양한 요소가 반영돼 관세 부과가 시작된 지 몇 주 경과만으로 이를 관세 영향이라 속단하기는 섣부르단 것이다. 철강 제품별 수출을 보면 자동차 제조에 쓰이는 철강판이 26.5% 감소했고 철강판과 수출 규모가 비슷한 강관 제품은 수출이 4.5% 증가해 최근 좋지 않은 자동차 시장 상황도 복합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국내 철강 업계는 현지 생산 확대를 통해 미국 새 통상 정책에 대응하고 장기적으로 관세 부과를 피한다는 방침이다. 현대제철은 약 8조5000억원을 투입해 2029년 상업 생산을 목표로 미국 루이지애나주에 전기로 제철소를 설립한다는 계획을 최근 발표했다. 포스코도 현대체철 제철소에 공동 투자해 물량을 공유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박유빈 기자 yb@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최지우 '완벽한 미모'
  • 최지우 '완벽한 미모'
  • 전지현 '눈부신 등장'
  • 츄 '상큼 하트'
  • 강지영 '우아한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