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고한 ‘상호관세’ 유예 시한(7월8일)이 임박한 가운데 , 산업통상자원부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은 5일 미국을 방문해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 등과 관세 협상을 실시한다.
산업부는 4일 여 본부장 방미와 관련해 “미국 관세 조치 향방을 예측하기 매우 어려운 상황인 만큼, 직접 방미하여 미국 정부 주요 관계자를 만나 상호 윈윈할 수 있는 한미간 ‘제조업 르네상스 파트너십’ 구축에 대한 우리 의지를 재차 강조할 것”이라며 “미측이 제기한 주요 관심사항에 대해 이해를 제고하고 의견을 나눌 계획”이라고 밝혔다.

산업부는 한미 양국이 무역·투자를 통해 긴밀히 연계된 상호보완적 협력 관계를 형성 중인 점과 그간의 우호적인 통상관계를 강조하며, 미국의 관세 조치로 인해 그간 양국이 쌓아온 협력 모멘텀이 약화하지 않도록 미측과 최선을 다해 협의해 나가겠다는 입장을 전달할 계획이다.
여 본부장은 “지금까지 진전된 협의 내용을 바탕으로 우리 기업이 상호관세 부과로 인해 다른 국가 대비 불리한 상황에 처하지 않도록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겠다”며 “금번 관세 협상을 향후 한미간 상호 호혜적인 전략적 파트너십의 틀을 새롭게 구축하는 기회로 삼겠다”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 세계를 상대로 관세 압박을 높여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4일(현지시간) 10∼12개국에 상호관세율을 적시한 서한을 보낼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부과 시점은 8월1일이고, 각국에 책정된 상호관세율이 10∼20%에서 60∼70% 수준이 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블룸버그는 이와 관련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수치가 확정되면 최고 상호관세율의 경우 지난 4월 발표된 상호관세율보다 높은 수준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향후 미측의 관세 조치 관련 변동성 및 주요 경쟁국의 관세 부과 상황이 매우 유동적일 것”이라며 “주요국 대상 미국의 관세 조치가 우리 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분석해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업계와 긴밀히 소통하면서 필요한 대응 조치를 신속히 강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