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월 지리산서 돌 틈 속 모습 촬영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 무산쇠족제비 활동이 지리산에서 8년 만에 확인됐다.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은 지리산국립공원 야생생물 관측 과정에서 무산쇠족제비의 모습이 영상으로 촬영됐다고 10일 밝혔다. 지리산국립공원에서 직원 순찰 중 목격돼 2017년 7월1일 성체 한 마리가 촬영된 이후 처음이다. 지리산국립공원 야생생물 관측 과정에서 무산쇠족제비 모습이 확인됐고 지난달 26일 돌 틈 사이에 얼굴을 내미는 성체 한 마리(사진)를 촬영하는 데 성공했다.
무산쇠족제비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중 가장 작은 육식 포유류로 성체 길이가 12∼16㎝에 불과하고 이동이 빨라 카메라에 담기 매우 힘든 종이라고 한다. 주로 굴이나 돌 틈, 나무둥치 등 은신할 수 있는 장소에 서식한다. 쥐 등 소형 설치류를 주로 잡아먹으며 양서류, 파충류, 곤충 등도 포식한다.
함경북도 무산에서 최초로 발견돼 무산족제비란 이름을 얻었다. 제주도와 울릉도를 제외한 전국 전역에 분포했지만 멸종위기에 몰렸다.
김승환 기자 hwa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