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단독] 장기이식 수술 70% 수도권에 쏠렸다

입력 : 2025-10-21 18:30:26 수정 : 2025-10-21 18:56:33
장한서 기자 jhs@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5년 동안 7515건 중 5201건
지방, 외과 전문의·시설 부족
“적출·이송 네트워크 구축 시급”

의∙정갈등이 봉합 수순에 접어들었으나 여전히 지역의료 공백 문제가 이어지는 가운데, 장기기증 수술도 서울 등 수도권에서 약 70%가 이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병원 수술실에서 의료진이 환자를 옮기고 있다. 연합뉴스

21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서미화 의원실이 한국장기조직기증원∙국립장기조직혈액관리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2020∼2024년)간 장기기증 수술 건수는 총 7515건으로 집계됐다. 이 중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이 5201건으로, 69.2%를 차지했다. 서울 4079건(54.3%), 경기 859건(11.4%), 인천 263건(3.5%)이다. 같은 기간 뇌사추정자는 서울 24.3%, 경기 21%로 인구 규모에 비례했지만, 실제 장기기증 수술은 수도권에 집중됐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경남은 7.2%(541건), 부산 6.8%(510건), 대구 5.7%(428건), 광주 3.4%(253건), 충남 1.5%(116건), 강원 1.2%(87건), 전북 1%(76건), 울산 0.8%(57건), 제주 0.4%(27건), 충북 0.2%(17건) 등이다. 특히 경북은 0건이었으며, 전남도 5건(0.1%)에 그쳤다. 권역별로 일종의 ‘거점’ 역할을 하는 국립대병원이 있는 부산∙대구∙광주 등에서는 장기기증 수술이 이뤄지고 있지만, 그 외 지역의 환자들은 대부분 수도권이나 인근 광역시로 이동해야 하는 처지다.

 

이 같은 쏠림 현상은 이식 수술이 가능한 대형병원과 전문 의료진이 수도권에 집중돼 있기 때문이다. 장기이식 수술은 외과 전문의, 이식 코디네이터 등 복수의 전문 인력이 동시에 투입돼야 하지만, 지역의 대다수 병원은 이식 전담팀이나 응급 수술 체계를 갖추지 못하고 있다. 뇌사추정자가 발생해도 실제 수술은 수도권 대형병원에서 이뤄지는 구조다.

 

복지부 관계자는 이와 관련 “신장 이식은 전국적으로 골고루 하고 있지만, 난도가 높은 간∙심장∙폐 이식은 수도권 병원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며 “장기이식을 위해선 의료진과 이를 지원하는 인력이 충분해야 한다. 지역의 경우 각 국립대병원에서 이식 수술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고난도 수술을 이행하기 위한 인력 등이 부족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서미화 의원은 “일분일초를 다투는 장기이식 수술마저 지방 의료 인프라 부족으로 인해 차질을 빚고 있다”며 “장기기증 활성화를 위해 의료기관과 의료인에게 인센티브를 주는 등 실효성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역∙병원 간 장기 적출∙이송을 원활히 이뤄지도록 관련 네트워크를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현재 지방에서 장기기증을 희망하는 뇌사자가 발생해도 수도권 대형병원의 의료진이 직접 내려와 장기를 적출한 뒤 다시 수도권 병원으로 돌아와 이식 수술을 진행하는 경우가 흔하다. 이 과정에서 시간과 비용 부담이 늘어나는 것은 물론, 장기이식의 신속성과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이광웅 대한간이식학회장(서울대병원 외과 교수)은 “장기이식 활성화를 위해서는 정부 차원의 ‘장기 적출∙이송 네트워크 구성 사업’이 필요하다”며 “의료진이 지역을 오가며 장기를 적출하는 방식은 소모적”이라고 말했다.


오피니언

포토

문가영 뚜렷 이목구비에 깜짝…시스루룩 완벽 소화
  • 문가영 뚜렷 이목구비에 깜짝…시스루룩 완벽 소화
  • 이안 '러블리 카리스마'
  • 하츠투하츠 에이나 '깜찍한 매력'
  • 정소민 완벽 이목구비…단발 찰떡 소화